"정고요나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하나의 소재가 다양한 형식으로 확장되는 방식을 모색하고 이를 개인의 경험과 관점이 적극 개입된 작업으로 실천한다. 작가의 스무 살 생일, 학원 책상 위에 놓인 장미 한 송이와 (고백이 담긴) 악보를 선물 받았던 경험 [5] 에서 출발한 작업은, 시간과 기억이 중첩된 회화 작품 < 스무 살에 머물다 >(2025)와 절제된 정서로 담담하게 연주되는 피아노곡 < 장미 >(2025)로 구현되어 감정의 잔재와 시간의 공백을 드러낸다. 작가에게 그 당시의 기억은 낭만적이거나 찬란한 순간이 아닌 오히려 부끄러움과 낯섦이라는 감각의 파편과 기억의 편린으로 환기된다. 또한,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들과 협업을 진행하는 프로젝트 [6] 에서는 사회적 경험의 맥락에서 대상을 다양하게 해석하는 지점에 주목한다. 이처럼 사적인 기억과 경험을 감각적 구조로 전이하는 작업에서 장미는 하나의 기표 signifiant로 부동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닌, 기억과 시간의 간극을 매개하고 경험의 층위를 수용하는 유동적 상징으로 기능한다”
In this exhibition, artist Jung Goyona explores how a single subject can be expanded into various forms, translating it into works that actively incorporate pers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The project begins with a memory from the artist’s twentieth birthday—a rose placed on her academy desk and a sheet of music (bearing a confession) given as a gift [5]—and unfolds into two works: the painting Staying Twenty (2025), in which time and memory are layered, and the piano piece Rose (2025), performed with restrained emotion and quiet sincerity. These works evoke the emotional residue and temporal voids of that moment.
For the artist, the memory is not recalled as romantic or radiant, but rather as fragments of awkwardness and unfamiliarity—sensory and mnemonic shards that resist idealization.In her collaborative project with professionals from various fields [6], she also focuses on how meaning shifts through diverse interpretations within a social context.
In this way, the rose—emerging from intimate memory and experience—is not fixed as a single signifier, but instead functions as a fluid symbol: mediating between memory and time, and accommodating multiple layers of experience within a sensory structure.
[5] 정고요나 작업노트(2025) 참조
[6] 소피칼Sophie Calle이2007년 베니스 비엔날레 프랑스관에서 선보였던 프로젝트의 작업 방식을 차용한 작업이다. 작가는 시각예술가(문정), 인턴큐레이터(이수빈), 한의사(최정윤), 웹툰작가(허안나)에게 장미를 각자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작업을 요청했고, 참여자들은A4 사이즈의 결과물로 구현했다
[5] Refer to Jung Goyona’s statement (2025).
[6] This work adopts the artistic approach used by Sophie Calle in her project for the French Pavilion at the 2007 Venice Biennale. The artist invited a visual artist (Moon Jung), an intern curator (Lee Soobin), a Korean medicine doctor (Choi Jungyoon), and a webtoon artist (Heo Anna) to interpret the rose from their own perspectives, each presenting their interpretation in the form of an A4-sized work.
글_이상미 독립 큐레이터 전시 서문 중
Text by Lee Sangmi, Independent Curator — from the exhibition prefa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