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yona Jung
  • Home
  • Portfolio
  • About
    • Biography
    • Client
    • History
  • Contact
KakaoTalk_20250727_143212852.jpg.png
기획의도
큐레이터: 이상미
  • 기획의 시작은 참여 작가 중 한 명인 김시하 작가의 제안에서 출발하였다. 작가는 사이먼 몰리SimonMorley의 저서 『장미의 문화사』를 추천하며 ’장미’에 관한 전시를 제안했다. 제안을 받았을 당시 꽃에 관한 스테레오 타입의 전시들이 떠올라 스스로 내제된 고정관념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이었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자문으로 기획의 방향을 모색했다. 동시대미술의 맥락에서 ‘꽃’은 아름다움 이면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다른 방식으로 사유하고 해석할 수 있는가, 미적 자연대상을 객관화 할 당위성이 존재하는가. 이와 같은 질문을 바탕으로 전시 《( ), 오 순수한 모순이여!》에서는 그동안 장미(꽃)가 소비 했던 이미지 너머 다층의 구조에 얽힌 의미를 소환해 외형적 아름다움을 수용하면서도 ‘장미’를 하나의 상징적 기호로 작동하 게 하고자 한다. 아름다움과 욕망의 상징인 ‘장미’는 오랜 역사 안에서 인문, 예술, 문화, 종교적으로 의미와 맥락을 달리하며 다양한 기호로 소비되었다.본 전시에서는 미적 호기심과 비가시적인 대상을 가시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작가의 욕망을 장미로 치환해 회화,설치,사진,영상,퍼포먼스로 실험하고 시각적으로 구현한다.상징적 대상으로의 장미를 참여 작가가 주체적으로 해석 하는 지점에서 하나의 기호가 다양하게 확장되는 방식을 모색하며,동시에 개별적으로 펼쳐지는 작업에서 교차점을 발견해 공진화 하는 과정을 거치고자 한다.전시 타이틀 《( ),오 순 수한 모순이여!》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RainerMaria Rilke의 묘비명의 일부인 ‘장미,오 순순한 모순이여’를 차용한 것으로,원문과는 달리 ‘( )’에 작가 혹은 관람자의 해석에 따라 다양 한 주어가 투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 ), 오 순수한 모순이여!》전시는 Part1과 Part2로 나누어 진다. Part 1에 해당하는 이번 전시는 참여 작가의 작품 중 ‘장미’와 연관된 작품을 전시하는 일종의 프리뷰 형식의 전시이 다. 작품에서 장미는 전면적으로 드러나기도, 혹은 은유적으로 제시되면서 시각적인 이미지에 중점을 둔다. 추후 진행 예정인 Part2 전시에서는 프리뷰 전시를 토대로 대상을 확장적으 로 해석한 작품들로 구성할 예정이며 참여 작가가 더해진다. 또한,전시 준비 과정과 전시 진행 중 비평가,시인,가드너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해 ‘장미’를 보다 입체적이고 종 합적으로 감각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The curatorial concept for this exhibition began with a proposal by participating artist Siha Kim. She recommended Simon Morley’s book, "The Rose: A Cultural History", and suggested organizing an exhibition centered around the theme of “roses.”
    At first, the idea evoked stereotypical images of floral-themed exhibitions, prompting a conscious effort to deconstruct such internalized preconceptions. This led to several key questions that helped shape the curatorial direction:
    •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what meanings lie beneath the surface of beauty when it comes to “flowers”?
    • Can we think about and interpret flowers differently?
    • Is there a legitimate reason to objectify such aesthetically charged elements of nature?
  • Grounded in these inquiries, the exhibition 《( ), Oh Pure Contradiction!》 aims to engage with the multilayered meanings entangled in the rose — beyond its historically consumed image — while embracing its outward beauty. The exhibition seeks to activate the rose as a symbolic signifier.
    As a symbol of beauty and desire, the rose has carried varying meanings across history — within the realms of the humanities, art, culture, and religion — and has been consumed in diverse semiotic contexts. In this exhibition, the rose is used as a stand-in for the artist’s aesthetic curiosity and desire to render the invisible visible. Through painting, installation, photography, video, and performance, the artists explore and visualize these ideas.
    The exhibition explores how the rose, as a symbolic object, can be subjectively interpreted and expanded upon by each participating artist. At the same time, it seeks to uncover intersections between individually unfolding works, engaging in a process of co-evolution.
    The exhibition title 《( ), Oh Pure Contradiction!》 is adapted from a line on Rainer Maria Rilke’s gravestone — “Rose, oh pure contradiction.” Unlike the original, however, the parentheses “( )” are left open to allow both artists and viewers to project their own interpretations into the work.
    The exhibition unfolds in two parts. Part 1, presented here, is a preview format that features selected works by participating artists related to the theme of “roses.” In these works, the rose may appear prominently or be referenced metaphorically, with an emphasis on visual imagery.
    Part 2, planned for the future, will build upon this preview, expan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rose to a broader conceptual scope. Additional artists will also be included.
    Throughout both the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the exhibition, we will collaborate with professionals from diverse fields — including critics, poets, and gardeners — to offer a more multi-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experience of the rose, allowing it to be more deeply sensed and appreciated.


"정고요나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하나의 소재가 다양한 형식으로 확장되는 방식을 모색하고 이를 개인의 경험과 관점이 적극 개입된 작업으로 실천한다. 작가의 스무 살 생일, 학원 책상 위에 놓인 장미 한 송이와 (고백이 담긴) 악보를 선물 받았던 경험 [5] 에서 출발한 작업은, 시간과 기억이 중첩된 회화 작품 < 스무 살에 머물다 >(2025)와 절제된 정서로 담담하게 연주되는 피아노곡 < 장미 >(2025)로 구현되어 감정의 잔재와 시간의 공백을 드러낸다. 작가에게 그 당시의 기억은 낭만적이거나 찬란한 순간이 아닌 오히려 부끄러움과 낯섦이라는 감각의 파편과 기억의 편린으로 환기된다. 또한,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들과 협업을 진행하는 프로젝트 [6] 에서는 사회적 경험의 맥락에서 대상을 다양하게 해석하는 지점에 주목한다. 이처럼 사적인 기억과 경험을 감각적 구조로 전이하는 작업에서 장미는 하나의 기표 signifiant로 부동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닌, 기억과 시간의 간극을 매개하고 경험의 층위를 수용하는 유동적 상징으로 기능한다”

In this exhibition, artist Jung Goyona explores how a single subject can be expanded into various forms, translating it into works that actively incorporate pers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The project begins with a memory from the artist’s twentieth birthday—a rose placed on her academy desk and a sheet of music (bearing a confession) given as a gift [5]—and unfolds into two works: the painting Staying Twenty (2025), in which time and memory are layered, and the piano piece Rose (2025), performed with restrained emotion and quiet sincerity. These works evoke the emotional residue and temporal voids of that moment.
For the artist, the memory is not recalled as romantic or radiant, but rather as fragments of awkwardness and unfamiliarity—sensory and mnemonic shards that resist idealization.In her collaborative project with professionals from various fields [6], she also focuses on how meaning shifts through diverse interpretations within a social context.
In this way, the rose—emerging from intimate memory and experience—is not fixed as a single signifier, but instead functions as a fluid symbol: mediating between memory and time, and accommodating multiple layers of experience within a sensory structure.

[5] 정고요나 작업노트(2025) 참조
[6] 소피칼Sophie Calle이2007년 베니스 비엔날레 프랑스관에서 선보였던 프로젝트의 작업 방식을 차용한 작업이다. 작가는 시각예술가(문정), 인턴큐레이터(이수빈), 한의사(최정윤), 웹툰작가(허안나)에게 장미를 각자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작업을 요청했고, 참여자들은A4 사이즈의 결과물로 구현했다

[5] Refer to Jung Goyona’s statement (2025).
[6] This work adopts the artistic approach used by Sophie Calle in her project for the French Pavilion at the 2007 Venice Biennale. The artist invited a visual artist (Moon Jung), an intern curator (Lee Soobin), a Korean medicine doctor (Choi Jungyoon), and a webtoon artist (Heo Anna) to interpret the rose from their own perspectives, each presenting their interpretation in the form of an A4-sized work.

글_이상미 독립 큐레이터 전시 서문 중 
Text by Lee Sangmi, Independent Curator — from the exhibition preface.

──────

​
스무살에_머물다,_oil_on_canvas,_72.7x53_.0cm,_2025ss_.jpg
스무살에 머물다 Stay at Twenty, oil on canvas, 72.7x53.0cm, 2025

장미에 관한 기억_스무살에 머물다
-이 작업은 작가가 스무 살 생일이었던 날 다니던 학원 책상 위에 놓여있던 장미꽃 한 송이와 장미를 주제로 작곡을 한 악보에 대한 기억으로 시작되었다. 주목 받는 걸 부끄러워했던 탓에 그 날의 장미에 대한 기억이  장미의 상징처럼 낭만적이고 아름답지 않았지만 그래서인지 잊혀지지도 않았다. 아직 간직하고 있었던 악보를 피아노 연주로 처음 들어보게 되었고, 풋풋했던 기억처럼 신선하게 들렸던 이 곡을 모티브로 작업을 하였다. 그림에서는 장미가 흐릿한 배경이 되었고, 꽃다발을 잡고 있는 손이 주체이다. 비가시적인 시간과 기억을 시각화하여 기억의 단편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전시 제목인 ‘( ), 오 순수한 모순이여!’ 와 같이 작품을 감상할 때 ( )안에 다양한 해석을, 그리고 각자 각인되어 있는 어떤 기억을 떠올리길 바란다.

A Memory of Roses_Staying at Twenty
This work began with a recollection from the artist’s twentieth birthday — a single rose placed on the desk at the academy she was attending, and a sheet of music she had once composed on the theme of roses.
Because she felt shy about receiving attention, the memory of that rose was not as romantic or beautiful as the symbolic image roses often carry. And perhaps because of that, it remained unforgettable.
Years later, she came across the old sheet music again and heard it played on the piano for the first time. The piece sounded fresh, like the innocence of that youthful memory, and it became the motif for this work.
In the painting, the rose is blurred into the background — a faint presence — while the hand holding a bouquet takes center stage. Through this, the artist sought to visualize intangible time and memory, capturing fragments of recollection.
As suggested by the exhibition title, “( ), Oh Pure Contradiction!”, viewers are invited to fill in the parentheses with their own interpretations — to recall a memory uniquely etched in their hearts.

10.감정의_시차,_oil_on_canvas,_72_.7x53_.0cm,_2024S_.jpg
감정의 시차 Emotional Lag, oil on canvas, 72.7x53.0cm, 2024
내가 느끼는 모든 순간의 감정들은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문득 떠올라 투명하게 인식된다. 나를 특별한 사람으로 만들어주는 수많은 하루의 이미지들을 보며 지나간 시간의 공백 속에서 순간의 감정과 기억의 단상들을 떠올리게 한다.

The emotions I feel in every moment often become clear to me only after time has passed. As I look back on the countless images of ordinary days that made me who I am, fragments of feelings and memories from those fleeting moments resurface from the silence of the past.
KakaoTalk_20250727_145800785.jpg
Rose, piano sound, 2분48초, 2025 (피아노연주_최수연)
작가가 스무 살 생일에 받았던 악보를 피아노 연주로 재현한 작업이다.
This work is a piano performance that recreates the sheet music the artist received on their 20th birthday.
KakaoTalk_20250727_145800785_06.jpg
Walts on birth of the white, 1992
By 강00
Collaboration

소피칼 Sophie Calle이 2007년 베니스 비엔날레 프랑스관에서 선보였던 프로젝트의 작업 방식을 차용한 작업이다. 
작가는 시각예술가(문정), 인턴큐레이터(이수빈), 한의사(최정윤), 웹툰작가(허안나)에게 장미를 각자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작업을 요청했고, 참여자들은A4 사이즈의 결과물로 구현했다.

This work adopts the artistic approach used by Sophie Calle in her project for the French Pavilion at the 2007 Venice Biennale.
The artist invited four individuals—a visual artist (Moon Jung), an intern curator (Lee Soobin), a Korean medicine doctor (Choi Jungyoon), and a webtoon artist (Heo Anna)—to interpret the theme of the rose from their own perspectives. Each participant expressed their interpretation in the form of an A4-sized work.


참여자 
1. 문정(artist): 농담 La Plaisanterie (종이에 연필_먹지,       29x21cm, 2025)
 -진지함의 무게를 덜어내기 위해 시도하는 언어의 한 조각. 또는 가벼움 속에 끝내 사라지지 않는 뾰족한 흔적.
​
2. 이수빈(curator): 월곡역 도보 10분 이내(essay)
 -20대의 주인공이 서울에 올라와서 겪은 이야기를 장미에 관한 에피소드로 풀어낸 짧은 에세이.
​
3. 최정윤(한의사): 매화과 금앵자(essay)
 - 한의사의 관점에서 본 약재로써의 장미에 대한 글.
​
4. 허안나(웹툰작가): 행복의 모순(cartoon, 2025)
 -작가의 분신 같은 캐릭터인 '파김치'를 인용해 파김치의 시선으로 '행복의 모순'이라 느끼는 장미를 표현하였다.
   
농담_문정.jpg
문정
농담 La Plaisanterie, 종이에 연필_먹지, 29x21cm, 2025
이수빈_오_순수한_모순이여_글s.jpg
이수빈
월곡역 도보 10분 이내, essay, 2025
KakaoTalk_20250727_153735937.jpg
최정윤
매화과 금앵자, essay, 2025
KakaoTalk_20250727_152708720.jpg
허안나
행복의 모순, cartoon, 2025
250407_5.jpg
250407_11.jpg
250407_9-1.jpg
KakaoTalk_20250727_145800785.jpg